엑셀을 사용할 때 날짜와 관련된 작업을 하다 보면 "이걸 어떻게 계산하지?" 싶은 순간이 많죠. 오늘은 엑셀에서 날짜를 다루는 다양한 함수와 유용한 활용법을 알려드릴게요!
📌 1. 오늘 날짜를 자동으로 입력하는 TODAY()와 NOW()
✅ TODAY() 함수
- 오늘 날짜(년-월-일)를 자동으로 표시하는 함수입니다.
- 셀에 =TODAY()를 입력하면 현재 날짜가 표시되며, 파일을 열 때마다 자동으로 갱신됩니다.
✅ NOW() 함수
- 현재 날짜와 시간까지 표시하는 함수입니다.
- =NOW()를 입력하면 2025-03-17 14:35 이런 식으로 시간까지 포함되어 나타납니다.
💡 활용 TIP
✔️ TODAY()는 출근부, 마감 기한 관리 등에 활용하면 좋아요!
✔️ NOW()는 실시간 시간 기록이 필요한 경우 유용합니다.
📌 2. 날짜 간 차이를 계산하는 DATEDIF()
두 날짜 간의 차이를 계산할 때 =끝나는 날짜 - 시작 날짜로 해도 되지만, 더 정교한 계산이 필요할 땐 DATEDIF() 함수를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 기본 사용법
=DATEDIF(시작일, 종료일, "단위")
여기서 "단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Y" → 연도 차이 계산
- "M" → 개월 차이 계산
- "D" → 일수 차이 계산
- "YM" → 개월만 계산 (연도 제외)
- "MD" → 일만 계산 (월, 연도 제외)
✅ 예제
📍 2024년 1월 1일과 2025년 3월 17일 사이의 차이
=DATEDIF("2024-01-01", "2025-03-17", "Y") → 결과: 1 (1년 차이)
=DATEDIF("2024-01-01", "2025-03-17", "M") → 결과: 14 (14개월 차이)
=DATEDIF("2024-01-01", "2025-03-17", "D") → 결과: 441 (441일 차이)
=DATEDIF("2024-01-01", "2025-03-17", "YM") → 결과: 2 (연도 제외, 개월만)
=DATEDIF("2024-01-01", "2025-03-17", "MD") → 결과: 16 (월, 연도 제외, 일수만)
💡 활용 TIP
✔️ 나이 계산: =DATEDIF(A1, TODAY(), "Y") (A1에 생년월일 입력)
✔️ 근속 연수 계산: =DATEDIF(입사일, TODAY(), "Y")
📌 3. 특정 날짜에서 기간 더하기/빼기 (EDATE(), EOMONTH())
✅ EDATE() 함수: 개월 수 더하기/빼기
- 특정 날짜에서 n개월을 더하거나 뺄 때 사용합니다.
- =EDATE(날짜, 개월 수)
- 개월 수를 음수(-) 로 입력하면 지난 날짜로 이동합니다.
📍 예제
=EDATE("2025-03-17", 3) → 결과: 2025-06-17 (3개월 후)
=EDATE("2025-03-17", -2) → 결과: 2025-01-17 (2개월 전)
✅ EOMONTH() 함수: 해당 월의 마지막 날 구하기
- 특정 날짜 기준으로 n개월 후(또는 전)의 마지막 날짜를 구할 때 사용합니다.
- =EOMONTH(날짜, 개월 수)
📍 예제
=EOMONTH("2025-03-17", 0) → 결과: 2025-03-31 (이번 달 마지막 날)
=EOMONTH("2025-03-17", 1) → 결과: 2025-04-30 (다음 달 마지막 날)
=EOMONTH("2025-03-17", -1) → 결과: 2025-02-28 (이전 달 마지막 날)
💡 활용 TIP
✔️ 납부 마감일 계산: EOMONTH(시작일, 개월 수) + 5 (해당 월 마지막 날 + 5일)
✔️ 월별 보고서 마감일 자동 설정
📌 4. 요일을 구하는 TEXT()와 WEEKDAY()
✅ TEXT() 함수: 날짜를 요일로 변환
- TEXT(날짜, "aaaa") → 월요일 (한글 요일)
- TEXT(날짜, "ddd") → Mon (영어 약어)
- TEXT(날짜, "dddd") → Monday (영어 전체)
📍 예제
=TEXT("2025-03-17", "aaaa") → 결과: 월요일
=TEXT("2025-03-17", "dddd") → 결과: Monday
✅ WEEKDAY() 함수: 요일을 숫자로 변환
- WEEKDAY(날짜, 1) → 일요일(1)~토요일(7)
- WEEKDAY(날짜, 2) → 월요일(1)~일요일(7)
📍 예제
=WEEKDAY("2025-03-17", 1) → 결과: 2 (월요일)
=WEEKDAY("2025-03-17", 2) → 결과: 1 (월요일)
💡 활용 TIP
✔️ 특정 요일(예: 금요일)만 필터링할 때 유용!
✔️ IF(WEEKDAY(A1,2)=5, "금요일입니다!", "금요일이 아닙니다.")
📌 5. 특정 날짜에서 n번째 평일 찾기 (WORKDAY())
✅ WORKDAY() 함수: 평일 기준 날짜 계산
- WORKDAY(시작일, 이동할 평일 수, 공휴일 목록)
- 주말(토, 일)을 제외하고 날짜를 계산합니다.
- 공휴일을 추가하면 공휴일도 제외됨.
📍 예제
=WORKDAY("2025-03-17", 10) → 결과: 2025-03-31 (10번째 평일)
=WORKDAY("2025-03-17", -5) → 결과: 2025-03-10 (5일 전 평일)
💡 활용 TIP
✔️ 업무 마감일 계산
✔️ D-day 계산 (영업일 기준)
🔥 마무리
엑셀에서 날짜를 다루는 함수들은 다양하지만, 오늘 소개한 TODAY(), DATEDIF(), EDATE(), EOMONTH(), TEXT(), WORKDAY() 같은 함수만 잘 활용해도 업무 효율이 확 올라갑니다! 🚀
이제 직접 실습해보면서 여러분의 엑셀 스킬을 레벨업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