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 정보

컴퓨터 구입시 주의사항

solarwind3 2008. 7. 20. 00:35
반응형

1위. 듀얼 채널 메모리 구성

소비자 분들이 가장 많이 실수하는 부분은 바로 듀얼채널 메모리 구성 부분이었습니다. 인텔 865 칩셋이나 9xx 계열들의 칩셋, 그리고 엔포스4와 같은 칩셋에 기반한 메인보드들은 듀얼 채널 메모리 기술을 지원합니다. 듀얼 채널 메모리 기술은 동일 사양의 메모리를 하나의 쌍(두 개)로 설치해서 대역폭을 확장하는 기술입니다.

이러한 듀얼 채널 메모리 기술을 사용하는 제품에서 듀얼 채널 메모리를 구성하지 않고 싱글 채널(한개)로 사용하는 경우 전체적인 성능이 하락해서 많은 손해를 보게 됩니다. 이러한 메인보드에는 512MB 메모리 한개 보다는 256MB 두개를, 1GB 메모리 한개보다는 512MB 두개를 사용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2위. 24핀 파워커넥터에 20핀 파워 서플라이를 연결하는 경우

최신의 메인보드에는 전원 공급을 받기 위한 커넥터가 24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24핀 전원 커넥터에 기존의 20핀 파워커넥터를 연결하여도 컴퓨터는 동작하지만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새로운 PCI 익스프레스 확장 슬롯의 경우 24핀 커넥터에 20핀 파워 커넥터를 연결하는 경우 75와트 정도의 전력 공급량이 35와트로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신형의 메인보드를 구입하시는 경우라면 24핀 전원 단자를 지원하는지 반드시 확인하고 파워 서플라이를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20핀을 24핀으로 바꾸어 주는 케이블은 전혀 효과가 없으니 이러한 제품은 20핀으로 그냥 사용하는 바와 다를바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3위. 그래픽카드와 메인보드 슬롯 규격의 불일지

최근 그래픽카드가 PCI 익스프레스 규격과 AGP 규격으로 동시에 출시되고 있다보니 그래픽카드 슬롯을 잘못 선택하는 경우도 많이 발생하였습니다. 특히나 지포스 6200 또는 6600과 같은 칩셋들은 AGP와 PCI 익스프레스 규격으로 동시에 출시되고 있기 때문에 보다 주의를 요하고 있습니다.

만일 여러분들이 신규로 컴퓨터를 구성하는 경우라면 PCI 익스프레스 확장 슬롯 규격을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 일부 메인보드의 경우 AGP 호환슬롯이나 PCI 익스프레스 호환슬롯 이라는 이름으로 그래픽카드 확장 슬롯을 제공하는 경우가 있는데, 공식적으로 칩셋에서 지원하지 않는 경우라면 되도록 사요하시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4위. 메인보드에 맞는 메모리 선택

인텔 9xx 계열 칩셋의 등장으로 DDR II SDRAM이 시장에 선보이게 되었습니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메모리를 잘못 선택하시는 분들도 자주 등장하고 있습니다. DDR SDRAM만을 지원하는 메인보드에 DDR II SDRAM을 선택하시는 경우도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DDR SDRAM과 DDR II SDRAM은 소켓 규격이 다르기 때문에 장착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메인보드 선택시 반드시 확인하고 구입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 일부 메인보드의 경우 DDR SDRAM과 DDR II SDRAM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한 제품이 있습니다. 이러한 제품은 DDR SDRAM과 DDR II SDRAM을 동시에 사용할 수 없으니 이점 역시 주의해야할 부분입니다.

4위. 인텔 9xx 칩셋 메인보드에서 IDE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선택하는 경우

신형의 펜티엄 4 프로세서를 위한 인텔 9xx 칩셋은 IDE 커넥터의 개수를 하나로 줄이고 대신 시리얼 ATA 커넥터를 4개로 늘렸습니다. 때문에 이러한 계열의 메인보드에 IDE 인터페이스의 일반 하드디스크를 선택하는 경우 CD-ROM 드라이브를 연결하실 수가 없습니다.

물론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마스터(Master)로, CD-ROM 드라이브를 슬레이브(Slave)로 점퍼를 설정하여 사용할 수 도 있으나 케이스의 특성상 케이블 길이가 대부분 짧고 CD-ROM과 동시에 사용시 하드디스크의 성능이 하락할 수 있으니 반드시 인텔 9xx 칩셋을 사용하는 메인보드의 경우 시리얼 ATA 방식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사용해야 합니다.

참고: 일부 메인보드의 경우 IDE를 지원하는 외부 컨트롤러 칩셋을 장착해 놓은 경우가 있으나 이점 역시 주의를 요합니다. 외부 컨트롤러에서 지원하는 IDE 포트는 CD-ROM 또는 CD-RW와 같은 광학 드라이브(ODD)를 지원하지 않으며 윈도우 설치시 반드시 드라이버를 설정해 줘야 하기 때문에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를 필요로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5. 메인보드와 프로세서간 소켓 규격의 불일치

프로세서와 메인보드의 소켓 규격 역시 많은 실수가 일어나는 부분입니다. 인텔의 경우 소켓 478과 LGA 775라는 규격이 혼동을 일으키며, AMD는 더욱 심각해 소켓 462, 소켓 754, 소켓 939 등 다양한 소켓 규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AMD의 경우 제품명이 동일하기 때문에 더욱 혼동을 야기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 대비해 자신이 선택한 메인보드의 소켓 규격을 반드시 확인하고 구입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 밖에도 그래픽카드에 맞는 파워 서플라이 용량의 선택이나 시리얼 ATA II 규격에 맞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선택 등 많은 경우에서 소비자의 혼동을 야기시키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반응형